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MES에 AI 검색을 도입하는 실무 가이드: 설계부터 구축까지


 


1. 요구사항 정의 및 목표 설정

  1. 검색 목적 구체화
    • MES 내 검색 대상: 생산 공정 이력, 설비 로그, 레시피 문서, 매뉴얼, QA/QC 데이터, 작업 지침 등
    • 검색 결과 형태: 단순 키워드 매칭 결과, 요약된 결과, 특정 질문에 대한 답변(Q&A) 등
    • 사용 시나리오:
      • 작업자가 특정 공정 이상 원인을 파악하고 싶을 때,
      • 설비 레시피나 유지보수 지침을 빠르게 찾고 싶을 때,
      • 과거 유사 이력/문제 사례를 탐색하고 싶을 때, 등.
  2. 성능 지표 정의
    • 검색 응답 속도(응답 시간), 검색 정확도(정밀도, 재현율), 사용자 만족도(UX), AI 모델 제공 정보의 신뢰도 등.
  3. 법적/보안/권한 고려
    • MES는 기업 핵심 공정 정보 및 생산 기밀을 다루므로, 보안 및 권한 관리가 중요.
    • GDPR 등 개인정보 보호 이슈(개인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도 점검.

2.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파이프라인 구성)

AI 기반 검색을 위해서는 검색 대상이 될 데이터(문서, 로그, DB 레코드 등)를 수집하고, 품질 관리 및 구조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1. 데이터 원천 파악 및 통합
    • MES DB(Oracle, MS SQL 등)
    • 문서 관리 시스템(DMS), SharePoint, 사내 Wiki, 공정 매뉴얼(문서, PDF 등)
    • 로그 서버(설비/SCADA 로그, ERP 연동 로그 등)
  2. 데이터 전처리 작업
    • 정형 데이터(테이블, CSV 등)는 DB 적재 및 스키마 검증 후, 메타데이터(공정 ID, 라인 ID 등)와 함께 관리.
    • 반정형/비정형 데이터(PDF, 문서 등) 텍스트 추출 → 품질 확인(인코딩 문제 등) → 문서 스플릿(너무 긴 본문은 절로 문단 단위 나누기) → 메타데이터 추가(문서 제목, 수정 일자, 버전 등).
    • 노이즈 제거(불필요한 문구, OCR 에러 등), 형태소 분석(한국어일 경우, 특히 형태소 분석기가 유용), 필요한 곳은 전문용어 사전 또는 사용자 사전을 구성.
  3. 정기적 업데이트
    • 공정이 실시간으로 진행되므로, 데이터가 계속 쌓인다. 따라서 Incremental Update 또는 Batch Update 파이프라인 자동화가 필수.

3. 인덱싱 및 검색 아키텍처 설계

AI 검색을 위해서는 크게 “텍스트 인덱스”와 “AI 모델”이 유기적으로 동작해야 합니다.

  1. 검색 엔진 선택
    • Elasticsearch, Apache Solr 등의 전통적인 풀텍스트 검색 엔진
    • 혹은 벡터 검색을 지원하는 milvus, Faiss, Pinecone 같은 벡터 DB
    • 실제 구축에서는 Elasticsearch + 벡터 검색 플러그인(또는 OpenSearch) 등도 많이 사용
  2. 벡터 인덱싱(Embedding) 도입 여부
    • 최근 AI 기반 검색은 문서의 의미를 벡터로 인코딩(Embedding)하여, 유사도 검색(Semantic Search)을 수행함.
    • 검색 질의(Query)도 동일한 Embedding으로 변환해 코사인 유사도 등으로 랭킹 가능.
    • 예: BERT, Sentence-BERT, KoBERT(한국어 최적화), KoAlpaca, KoGPT, Llama 계열 등.
  3. 하이브리드 검색(전통 검색 + 벡터 검색)
    • 키워드 기반의 필터링이나 정확한 매칭이 필요한 경우 전통 검색 인덱스가 유용
    • 의미 기반 확장이 필요한 경우 벡터 검색이 유용
    • 두 방식을 조합하여 최종 랭킹 결과를 통합하면 정확도와 다양성을 모두 확보 가능
  4. 확장성 고려
    • 검색 요청이 많을 경우, 검색 엔진과 ML 인프라가 확장(Scale-out) 가능해야 한다.
    • 컨테이너(Docker/Kubernetes) 환경에서 스케일링을 고려.

4. AI 모델 및 검색 알고리즘

AI 검색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사전 학습 모델 + 사내 도메인 특화 학습/파인튜닝”이 관건입니다.

  1. 언어 모델 선정
    • 기본적인 한국어가 포함된 멀티링구얼 모델(예: BERT, roBERTa, XLM-R), 또는 KoBERT, KoGPT 등 한국어 특화 모델.
    • 제조업, MES, 공정 관련 전문 용어가 포함된 커스텀 사전(Tokenizer)을 사용하거나, 추가 도메인 파인튜닝을 수행하면 성능이 올라감.
  2. 도메인 파인튜닝(Domain Adaptation)
    • 사내에 축적된 과거 매뉴얼, 공정 설명서, 작업 지침서 등을 이용하여 파인튜닝 → 의미 파악에 더 특화된 검색 결과를 제공.
    • 예: 자연어 질의가 “F-217 공정 에러 원인?”이라면, 모델이 MES 데이터 내 “F-217” 관련 로그, 공정 매뉴얼, 에러 코드 문서 등을 우선적으로 찾도록 함.
  3. 랭킹 알고리즘
    • 전통적 TF-IDF/Okapi BM25 스코어와, Embedding 기반 유사도 스코어를 병합(가중 합산 등)하여 최종 랭킹 산출.
    • 도메인 용어(공정, 장비명 등)의 중요도를 높이거나, 문서의 최신 버전에 가중치를 더 주는 등 커스텀 랭킹 규칙 추가.
  4. QA / 챗봇 형태의 인터페이스 (고급 확장)
    • LLM(대규모 언어 모델, 예: GPT 계열) 기반으로, 검색된 문서를 바탕으로 답변이나 요약을 제공.
    • 사용자가 “현재 생산 공정에서 발생한 불량률이 지난주 대비 얼마나 증가했는지 알려줘”와 같은 자연어 질문 → 내부 DB 검색 + 답변 요약
    • 사내 정보가 풍부할수록 높은 수준의 Q&A/챗봇 기능 제공 가능.

5. 시스템 아키텍처 예시

아래는 한 가지 대표적인 예시이며, 상황에 따라 구성이 달라집니다:

[데이터 원천][ETL/수집][전처리/클리닝][검색 엔진/DB][벡터 인덱스 + ML 파트][API/서비스 레이어][웹 UI or MES UI 내 연동]
  1. ETL/수집 레이어
    • 배치 혹은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MES DB, DMS, 로그 등에서 데이터 수집
    • 문서 텍스트화, OCR, 메타데이터 추출
  2. 전처리/클리닝 파이프라인
    • 원시 텍스트를 문단 단위로 나누고, 불필요한 노이즈 제거, 형태소 분석 등
    • Embedding에 활용할 입력 포맷으로 변환
  3. 검색 엔진(Elasticsearch/Opensearch/벡터DB)와 ML 파트
    • 데이터에 대한 인덱싱, 벡터 생성, 저장
    • 질의 시, 키워드와 벡터 검색(혹은 하이브리드) 수행
  4. API/서비스 레이어
    • 검색 요청 처리 로직, 랭킹 알고리즘, 보안/권한 체크
    • 향후 챗봇 기능(LLM) 연동 시, 검색된 문서를 요약·정리하여 응답
  5. 프론트엔드/UI
    • MES 포털 또는 독립 웹 페이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검색 UI 제공
    • 결과 필터링(설비별, 날짜별, 에러 코드별) 기능, 하이라이팅, 요약본 표시 등 UX 강화

6. 권한 및 보안

  1. 역할 기반 접근 제어(RBAC)
    • MES처럼 다양한 사용자(엔지니어, 매니저, 현장 작업자)가 접근하므로, 검색 결과에도 문서 접근 권한이 반영되어야 함.
    • 보안 요구 사항에 따라, 민감도가 높은 문서는 검색 노출을 제한.
  2. 네트워크 보안
    • MES가 사내망에서만 동작하는 경우, 내부망 검색 엔진 구성 후, DMZ 등 방화벽 정책 고려.
    • 외부 협력사와의 자료 공유가 필요한 경우, 별도 권한·VPN·SFTP 등 적용.
  3. 로그 및 감사 추적(Audit Trail)
    • 누가 언제 어떤 키워드로 검색했는지 기록해 보안 사고나 데이터 유출을 추적 가능하도록 구현.

7. 운영 및 유지보수

  1. 지속적 데이터 업데이트
    • 새로 유입되는 MES 데이터가 자동 반영되도록 파이프라인 모니터링·운영
    • 문서 변경/삭제 시, 인덱스 동기화
  2. 모델 재학습 스케줄
    • 도메인 지식이 업데이트되거나 사내 용어가 늘어나면, Embedding 모델(혹은 LLM) 정기적 업데이트/파인튜닝
    • 검색 로그를 통해 사용자가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만족/불만족 로그 등을 활용해 모델 개선.
  3. 지표 모니터링 및 최적화
    • 검색 시간, 정확도,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 리소스 사용량을 종합적으로 모니터링
    • 검색 결과 클릭률(CTR), 사용자 피드백, 챗봇 응답 정확도 등을 바탕으로 지속 개선.

8. 단계별 구축 로드맵 예시

  1. 파일럿(Pilot) 단계
    • 제한된 데이터셋(대표 공정 한두 개)으로 PoC(개념검증)
    • Elasticsearch 같은 검색 엔진 + BERT 기반 Semantic Search 시범 적용
    • 사용자 소수그룹(UAT) 통해 피드백 수집
  2. 1차 롤아웃
    • 전체 MES 주요 데이터셋, 문서, 로그로 확장
    • RBAC 등 보안 권한 체계 반영
    • 하이브리드 검색(키워드 + 벡터) 실환경 적용, 성능 튜닝
  3. 고도화(챗봇/Q&A) 단계
    • LLM 연동으로 현장 작업자에게 자연어 기반 생산이력 질의응답, 문제 원인 추론 등 가능하게 함
    • 음성 인터페이스(스마트 디바이스)까지 확장 고려
  4. 장기 운영/관리
    • 정기적인 모델 업데이트 및 시스템 모니터링
    • 사내 전문가(데이터 사이언티스트, MLOps 엔지니어)와 협업하여 유지·개선

마무리

정리하면, MES에 AI 검색(특히 최신 AI·ML 기술을 활용한 의미 검색)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파이프라인 설계검색 엔진 및 벡터 인덱스 구현도메인 특화 언어 모델 구축보안 및 권한 체계 설정 등의 과정이 필수입니다. 규모가 큰 MES 환경에서는 확장성과 보안 이슈가 가장 중요하며, 기술적으로는 전통 검색 엔진 + 벡터 검색 + LLM 연동 형태의 하이브리드 아키텍처가 현재로서는 가장 활용도가 높습니다.

이상의 단계별 접근 방법을 토대로 파일럿 프로젝트 → 점진적 확대 → 고도화(챗봇/QA/분석) 순서로 진행하면, 무리 없이 MES에 AI 검색 기능을 안착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실버테크(Silver-Tech)

고령화 시대의 새로운 혁신, 실버테크(Silver Tech) 1. 실버테크란 무엇인가? 현대 사회는 빠른 속도로 고령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년층을 위한 기술과 서비스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실버테크(Silver Tech)**는 노년층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기술과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건강 관리, 안전, 생활 편의성, 사회적 연결 등을 지원하는 다양한 혁신적인 기술이 포함됩니다. 2. 실버테크의 주요 분야 1) 헬스케어 및 원격 의료 스마트워치나 피트니스 트래커를 활용한  건강 모니터링 온라인 진료를 통해 병원 방문 없이 상담이 가능한  원격 의료 서비스 건강 상태를 분석하고 관리해주는  AI 기반 건강 관리 시스템 2) 스마트홈 및 생활 보조 기술 음성 인식으로 조작이 가능한  스마트 가전 낙상 감지 및 응급 호출 기능이 포함된  스마트 센서 노년층을 위한  자동화된 조명, 난방 시스템 3) 커뮤니케이션 및 소셜 기술 사용하기 쉬운 UI를 적용한  실버폰 및 태블릿 가족 및 친구와 소통을 쉽게 해주는  화상 통화 및 메시징 앱 노인 대상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4) 여가 및 엔터테인먼트 노년층을 위한  VR(가상현실) 체험 프로그램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문화, 교육 콘텐츠 손쉽게 즐길 수 있는  전용 게임 및 앱 5) 이동성 및 모빌리티 솔루션 편리한 이동을 돕는  전동 휠체어 및 스쿠터 실시간 위치 추적이 가능한  스마트 네비게이션 시스템 고령자를 위한  자율주행 차량 및 호출 서비스 3. 실버테크가 가져오는 변화 - 삶의 질 향상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노년층이 더욱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건강하고 편리한 삶을 지원합니다. - 사회적 고립 해소 화상 통화, 소셜 네트워크,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경제적 기회 창출 실버테크 산...

로또 번호 생성기

키움증권 Open API를 활용하여 갭 매매 전략 구현- C#

  1. 갭 매매 전략이란? 갭 매매란 주가가 전일 종가 대비 큰 폭으로 상승(갭업)하거나 하락(갭다운)하여 개장할 때, 발생한 갭의 움직임을 활용하여 수익을 내는 전략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전략은 다음 조건에 해당하는 종목을 대상으로 합니다. 조건검색 : 전일 대비 오늘 시가가 5% 이상 갭업으로 시작한 종목 전략 실행 : 개장 후 30분 이내에 주가가 전일 종가 수준까지 회귀하면 매수 진입 후, 갭이 완전히 메워질 때 매도합니다. 손절매 : 진입 가격에서 갭 상승분의 50% 하락 시 손절 익절매 : 갭 상승분의 50% 이상 추가 상승 시 익절합니다. 2. 구현 환경 및 준비사항 키움증권 API+ 설치 (영웅문 API) Visual Studio Community Edition (C#) 키움증권 계좌 (모의투자 계좌 추천) 3. C# 코드 전체 구현 (주석 포함) 다음 코드에는 갭 매매 전략, 주문 실행, 체결 확인 및 정정 주문까지 포함되어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AxKHOpenAPILib; public class GapTrading { private AxKHOpenAPI axKHOpenAPI; private string accountNumber; // 매수 후 체결된 정보를 저장할 Dictionary (종목코드, (체결가격, 체결수량)) private Dictionary< string , ( int price, int qty)> positions = new Dictionary< string , ( int , int )>(); public GapTradingStrategy (AxKHOpenAPI api, string accountNo) { axKHOpenAPI = api; accountNumber = accountNo; ...

Log4Net vs. Serilog 비교

🔍 Log4Net vs. Serilog 간단 비교 기준Log4NetSerilog 성능 중간 (충분하지만, 최신 라이브러리보단 느림) 빠르고 효율적 설정 방식 XML 기반 (전통적) JSON 기반 (모던함) 구조적 로깅 미지원 (기본 텍스트 로그) 강력한 구조적 로깅 지원 ASP.NET Core 통합 가능하지만 설정이 좀 복잡 간단하고 직관적 Sink(대상) 다양성 적당한 편 매우 다양하고 확장성 높음 생태계 & 유지보수 전통적, 유지보수 상태는 다소 정체 활발한 개발과 업데이트 🎯 어떤 프레임워크가 좋을까? Serilog를 추천하는 이유: 최신 기술 : ASP.NET Core와 완벽히 통합, 구조적 로깅이 뛰어나 JSON 로그 처리, 분석에 최적화됨. 높은 생산성 : 설정과 유지보수가 쉬움. 코드 기반 및 JSON 설정으로 직관적이고 빠른 개발이 가능. 확장성 : 파일, 콘솔, DB, Elasticsearch, Seq 등 다양한 Sink를 제공해 향후 확장성이 좋음. 🚀 결론 요약 Log4Net을 추천할 때Serilog를 추천할 때 기존 시스템과 호환이 필수 최신 ASP.NET Core 프로젝트 XML 설정 선호 JSON, 코드 기반 설정 선호 구조적 로깅 필요 없음 구조적 로깅과 분석 필요

C#으로 아두이노와의 시리얼 통신

  1. 들어가며 최근 IoT와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이 증가하면서 PC와 아두이노 간의 통신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중요해졌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시리얼(Serial) 통신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C#을 이용해 아두이노와의 시리얼 통신을 완벽히 이해하고 구현하는 방법을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 2. 시리얼 통신이란? 시리얼 통신은 데이터를 한 번에 한 비트씩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USB 포트를 통해 아두이노와 PC 간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주로 사용됩니다. 3. 준비물 아두이노(UNO, MEGA 등) PC 및 Visual Studio USB 케이블 4. 아두이노에서의 시리얼 통신 설정 아두이노 IDE에서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하여 아두이노 보드에 업로드합니다. void setup () { Serial . begin ( 9600 ); // Baud rate 설정 } void loop () { if ( Serial . available ()) { char c = Serial . read (); // PC에서 받은 데이터 읽기 Serial . print ( "Received: " ); Serial . println (c); // 읽은 데이터를 다시 PC로 전송 } } 5. C#에서의 시리얼 통신 설정 C#에서는 System.IO.Ports 네임스페이스의 SerialPort 클래스를 사용합니다. 예제 코드 using System; using System.IO.Ports; class Program { static SerialPort port; static void Main () { port = new SerialPort( "COM3" , 9600 ); // 포트번호와 Baud rate 설정 port.Open(); port.DataRecei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