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요구사항 정의 및 목표 설정
- 검색 목적 구체화
- MES 내 검색 대상: 생산 공정 이력, 설비 로그, 레시피 문서, 매뉴얼, QA/QC 데이터, 작업 지침 등
- 검색 결과 형태: 단순 키워드 매칭 결과, 요약된 결과, 특정 질문에 대한 답변(Q&A) 등
- 사용 시나리오:
- 작업자가 특정 공정 이상 원인을 파악하고 싶을 때,
- 설비 레시피나 유지보수 지침을 빠르게 찾고 싶을 때,
- 과거 유사 이력/문제 사례를 탐색하고 싶을 때, 등.
- 성능 지표 정의
- 검색 응답 속도(응답 시간), 검색 정확도(정밀도, 재현율), 사용자 만족도(UX), AI 모델 제공 정보의 신뢰도 등.
- 법적/보안/권한 고려
- MES는 기업 핵심 공정 정보 및 생산 기밀을 다루므로, 보안 및 권한 관리가 중요.
- GDPR 등 개인정보 보호 이슈(개인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도 점검.
2.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파이프라인 구성)
AI 기반 검색을 위해서는 검색 대상이 될 데이터(문서, 로그, DB 레코드 등)를 수집하고, 품질 관리 및 구조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 데이터 원천 파악 및 통합
- MES DB(Oracle, MS SQL 등)
- 문서 관리 시스템(DMS), SharePoint, 사내 Wiki, 공정 매뉴얼(문서, PDF 등)
- 로그 서버(설비/SCADA 로그, ERP 연동 로그 등)
- 데이터 전처리 작업
- 정형 데이터(테이블, CSV 등)는 DB 적재 및 스키마 검증 후, 메타데이터(공정 ID, 라인 ID 등)와 함께 관리.
- 반정형/비정형 데이터(PDF, 문서 등) 텍스트 추출 → 품질 확인(인코딩 문제 등) → 문서 스플릿(너무 긴 본문은 절로 문단 단위 나누기) → 메타데이터 추가(문서 제목, 수정 일자, 버전 등).
- 노이즈 제거(불필요한 문구, OCR 에러 등), 형태소 분석(한국어일 경우, 특히 형태소 분석기가 유용), 필요한 곳은 전문용어 사전 또는 사용자 사전을 구성.
- 정기적 업데이트
- 공정이 실시간으로 진행되므로, 데이터가 계속 쌓인다. 따라서 Incremental Update 또는 Batch Update 파이프라인 자동화가 필수.
3. 인덱싱 및 검색 아키텍처 설계
AI 검색을 위해서는 크게 “텍스트 인덱스”와 “AI 모델”이 유기적으로 동작해야 합니다.
- 검색 엔진 선택
- Elasticsearch, Apache Solr 등의 전통적인 풀텍스트 검색 엔진
- 혹은 벡터 검색을 지원하는 milvus, Faiss, Pinecone 같은 벡터 DB
- 실제 구축에서는 Elasticsearch + 벡터 검색 플러그인(또는 OpenSearch) 등도 많이 사용
- 벡터 인덱싱(Embedding) 도입 여부
- 최근 AI 기반 검색은 문서의 의미를 벡터로 인코딩(Embedding)하여, 유사도 검색(Semantic Search)을 수행함.
- 검색 질의(Query)도 동일한 Embedding으로 변환해 코사인 유사도 등으로 랭킹 가능.
- 예: BERT, Sentence-BERT, KoBERT(한국어 최적화), KoAlpaca, KoGPT, Llama 계열 등.
- 하이브리드 검색(전통 검색 + 벡터 검색)
- 키워드 기반의 필터링이나 정확한 매칭이 필요한 경우 전통 검색 인덱스가 유용
- 의미 기반 확장이 필요한 경우 벡터 검색이 유용
- 두 방식을 조합하여 최종 랭킹 결과를 통합하면 정확도와 다양성을 모두 확보 가능
- 확장성 고려
- 검색 요청이 많을 경우, 검색 엔진과 ML 인프라가 확장(Scale-out) 가능해야 한다.
- 컨테이너(Docker/Kubernetes) 환경에서 스케일링을 고려.
4. AI 모델 및 검색 알고리즘
AI 검색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사전 학습 모델 + 사내 도메인 특화 학습/파인튜닝”이 관건입니다.
- 언어 모델 선정
- 기본적인 한국어가 포함된 멀티링구얼 모델(예: BERT, roBERTa, XLM-R), 또는 KoBERT, KoGPT 등 한국어 특화 모델.
- 제조업, MES, 공정 관련 전문 용어가 포함된 커스텀 사전(Tokenizer)을 사용하거나, 추가 도메인 파인튜닝을 수행하면 성능이 올라감.
- 도메인 파인튜닝(Domain Adaptation)
- 사내에 축적된 과거 매뉴얼, 공정 설명서, 작업 지침서 등을 이용하여 파인튜닝 → 의미 파악에 더 특화된 검색 결과를 제공.
- 예: 자연어 질의가 “F-217 공정 에러 원인?”이라면, 모델이 MES 데이터 내 “F-217” 관련 로그, 공정 매뉴얼, 에러 코드 문서 등을 우선적으로 찾도록 함.
- 랭킹 알고리즘
- 전통적 TF-IDF/Okapi BM25 스코어와, Embedding 기반 유사도 스코어를 병합(가중 합산 등)하여 최종 랭킹 산출.
- 도메인 용어(공정, 장비명 등)의 중요도를 높이거나, 문서의 최신 버전에 가중치를 더 주는 등 커스텀 랭킹 규칙 추가.
- QA / 챗봇 형태의 인터페이스 (고급 확장)
- LLM(대규모 언어 모델, 예: GPT 계열) 기반으로, 검색된 문서를 바탕으로 답변이나 요약을 제공.
- 사용자가 “현재 생산 공정에서 발생한 불량률이 지난주 대비 얼마나 증가했는지 알려줘”와 같은 자연어 질문 → 내부 DB 검색 + 답변 요약
- 사내 정보가 풍부할수록 높은 수준의 Q&A/챗봇 기능 제공 가능.
5. 시스템 아키텍처 예시
아래는 한 가지 대표적인 예시이며, 상황에 따라 구성이 달라집니다:
[데이터 원천] → [ETL/수집] → [전처리/클리닝] → [검색 엔진/DB] → [벡터 인덱스 + ML 파트] → [API/서비스 레이어] → [웹 UI or MES UI 내 연동]
- ETL/수집 레이어
- 배치 혹은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MES DB, DMS, 로그 등에서 데이터 수집
- 문서 텍스트화, OCR, 메타데이터 추출
- 전처리/클리닝 파이프라인
- 원시 텍스트를 문단 단위로 나누고, 불필요한 노이즈 제거, 형태소 분석 등
- Embedding에 활용할 입력 포맷으로 변환
- 검색 엔진(Elasticsearch/Opensearch/벡터DB)와 ML 파트
- 데이터에 대한 인덱싱, 벡터 생성, 저장
- 질의 시, 키워드와 벡터 검색(혹은 하이브리드) 수행
- API/서비스 레이어
- 검색 요청 처리 로직, 랭킹 알고리즘, 보안/권한 체크
- 향후 챗봇 기능(LLM) 연동 시, 검색된 문서를 요약·정리하여 응답
- 프론트엔드/UI
- MES 포털 또는 독립 웹 페이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검색 UI 제공
- 결과 필터링(설비별, 날짜별, 에러 코드별) 기능, 하이라이팅, 요약본 표시 등 UX 강화
6. 권한 및 보안
- 역할 기반 접근 제어(RBAC)
- MES처럼 다양한 사용자(엔지니어, 매니저, 현장 작업자)가 접근하므로, 검색 결과에도 문서 접근 권한이 반영되어야 함.
- 보안 요구 사항에 따라, 민감도가 높은 문서는 검색 노출을 제한.
- 네트워크 보안
- MES가 사내망에서만 동작하는 경우, 내부망 검색 엔진 구성 후, DMZ 등 방화벽 정책 고려.
- 외부 협력사와의 자료 공유가 필요한 경우, 별도 권한·VPN·SFTP 등 적용.
- 로그 및 감사 추적(Audit Trail)
- 누가 언제 어떤 키워드로 검색했는지 기록해 보안 사고나 데이터 유출을 추적 가능하도록 구현.
7. 운영 및 유지보수
- 지속적 데이터 업데이트
- 새로 유입되는 MES 데이터가 자동 반영되도록 파이프라인 모니터링·운영
- 문서 변경/삭제 시, 인덱스 동기화
- 모델 재학습 스케줄
- 도메인 지식이 업데이트되거나 사내 용어가 늘어나면, Embedding 모델(혹은 LLM) 정기적 업데이트/파인튜닝
- 검색 로그를 통해 사용자가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만족/불만족 로그 등을 활용해 모델 개선.
- 지표 모니터링 및 최적화
- 검색 시간, 정확도, 사용자 피드백, 시스템 리소스 사용량을 종합적으로 모니터링
- 검색 결과 클릭률(CTR), 사용자 피드백, 챗봇 응답 정확도 등을 바탕으로 지속 개선.
8. 단계별 구축 로드맵 예시
- 파일럿(Pilot) 단계
- 제한된 데이터셋(대표 공정 한두 개)으로 PoC(개념검증)
- Elasticsearch 같은 검색 엔진 + BERT 기반 Semantic Search 시범 적용
- 사용자 소수그룹(UAT) 통해 피드백 수집
- 1차 롤아웃
- 전체 MES 주요 데이터셋, 문서, 로그로 확장
- RBAC 등 보안 권한 체계 반영
- 하이브리드 검색(키워드 + 벡터) 실환경 적용, 성능 튜닝
- 고도화(챗봇/Q&A) 단계
- LLM 연동으로 현장 작업자에게 자연어 기반 생산이력 질의응답, 문제 원인 추론 등 가능하게 함
- 음성 인터페이스(스마트 디바이스)까지 확장 고려
- 장기 운영/관리
- 정기적인 모델 업데이트 및 시스템 모니터링
- 사내 전문가(데이터 사이언티스트, MLOps 엔지니어)와 협업하여 유지·개선
마무리
정리하면, MES에 AI 검색(특히 최신 AI·ML 기술을 활용한 의미 검색)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파이프라인 설계, 검색 엔진 및 벡터 인덱스 구현, 도메인 특화 언어 모델 구축, 보안 및 권한 체계 설정 등의 과정이 필수입니다. 규모가 큰 MES 환경에서는 확장성과 보안 이슈가 가장 중요하며, 기술적으로는 전통 검색 엔진 + 벡터 검색 + LLM 연동 형태의 하이브리드 아키텍처가 현재로서는 가장 활용도가 높습니다.
이상의 단계별 접근 방법을 토대로 파일럿 프로젝트 → 점진적 확대 → 고도화(챗봇/QA/분석) 순서로 진행하면, 무리 없이 MES에 AI 검색 기능을 안착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png)
댓글
댓글 쓰기